조선족 사회에 관한 글 - 예전스크랩을 다시 복사하다. 조선족과 도시화의 문제에 대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김준봉/ 한중미래경영연구소장/북경공업대학 성시계획학원초빙교수/ 연세대학교 건축도시공학부 객원교수/공학박사/건축사 들어가는 말 도시화 그리고 산업화 현대사회에 있어서 도시화 산업화는 필연이다.... 고향을 떠나는 농.. 앙가주망/민족 2014.02.13
소중화주의 - 퍼온글 '천하제일'을 외쳐대는 중국인 못지않게 한국인도 '최고'란 단어를 좋아한다. 문화란 서로 다름이 속성일 텐데, 우리는 굳이 서열을 매겨서 "김치가 세계 최고, 사물놀이도 최고"라고 자평한다. 이런 허황한 자만심은 17세기 중반 조선 지배층이 품었던 '소중화주의'에서 비롯한 것이다. 문.. 앙가주망/민족 2014.02.12
백두산, 칠보산 동영상 백두산 천지 여기를 누르시면 됩니다. 백두산의 폭포와 원시림 여기를 누르시면 됩니다. 백두산의 식생 여기를 누르시면 됩니다. 칠보산 여기를 누르시면 됩니다. 앙가주망/민족 2013.06.14
북한 울림폭포의 장관(?) 을 보시려면 여기 를 눌러 주셔요. 참고로 울림폭포는 북한 강원도 천내군에 있으며 마식령산맥 골들의 물들이 모여 엄청난 수량을 자랑한다. 높이는 75미터 앙가주망/민족 2013.05.16
북한의 백두대간 산들을 공개하다 2 잊혀졌던 북한의 산들 2011년 북한 원정의 마지막 산, 문필봉 글 사진 | 로저 셰퍼드(탐험·저술가) 번역 | 한영환 2011년 10월 29일은 북한에서 13일 동안 진행했던 산행의 마지막 날이었다. 북한에 오기 전 서울에서 나의 이번 원정에 대해 가졌던 우려가 말끔히 사라졌다. 그런 걱정은 산바.. 앙가주망/민족 2012.07.20
[스크랩] Special Report | 북한의 백두대간 산들을 공개하다 Special Report | 북한의 백두대간 산들을 공개하다 잊혀졌던 북한의 산들 산신이 이끈 산행, 북대봉 글 사진 | 로저 셰퍼드(탐험·저술가) 번역 | 한영환 신비하고 독특한 산줄기로 백두산과 지리산을 굳건히 연결하고 있는 거대한 백두대간은 나에게 많은 흥분과 상상을 불러일으킨다. 한.. 앙가주망/민족 2012.07.20
금강산 12폭포의 흑백사진 좀전 8시경에 제주도의 세계7대자연경관 선종투표가 마감되었다고 한다. 전국민적인 홍보로 인해 그 결과가 주목되기는 하지만 진정으로 객관적인 것이 될 것인가에는 분명 의심의 여지가 있다. 만약 금강산을 세계7대자연경관에 등록시키려고 대대적인 홍보가 이루어졌더라면 .. 앙가주망/민족 2011.11.11
금강산 집선봉 암벽(일제강점기) 조선산악회 회원이었던 일본의 반산달웅(飯山達雄)이 쓴 <북조선의 산>이라는 책에 나온 금강산 집선봉 C2 사진입니다. 집선봉 중앙벽이라는 제목이 달려있고, 김정태 선생님이 초등한 후인 1942년에 등반한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C2는 벽 길이가 800m에 달한다고 하는데, 집선봉은 단독봉우리가 아.. 앙가주망/민족 2011.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