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만할 구절 들 - 전경린의 여름휴가 외 폭포(瀑布)는 곧은 절벽(絶壁)을 무서운 기색도 없이 떨어진다. 규정(規定)할 수 없는 물결이 무엇을 향(向)하여 떨어진다는 의미(意味)도 없이 계절(季節)과 주야(晝夜)를 가리지 않고 고매(高邁)한 정신(精神)처럼 쉴사이 없이 떨어진다. 금잔화(金盞花)도 인가(人家)도 보이지 않는 밤이 .. 짧고 길게/독서일기 2015.03.11
[스크랩] 행복한 문학편지 - 천규석, 「낭만적 관점에서 본 녹색자치」 중에서 “고령화는 보이지 않게 그리고 천천히 경제를 마비시킨다. 늙어가면서 씀씀이를 줄이기 때문에 성장률을 떨어뜨리고 고용도 갉아먹는다.” (2008년 8월 27일 《조선일보》) <중략> 노인들의 시장화되지 않은 자급노동을 통한 농업적인 삶이 시장의 적이라면 시장화되지 않은 전업주.. 짧고 길게/독서일기 2014.01.07
박진규의 수상한 식모들 과천에서 용인까지 출퇴근시 버스에서 보내는 시간이 너무 길어서 심심풀이 소설책을 빌려서 보기로 했다. 그 첫번째가 김영하의 [퀴즈쇼]였고 이번이 두번째, 기발한 상상력이 돋보이는 박진규의 [수상한 식모들]. 강남까지 가서 용인으로 가는 광역버스를 갈아타고 25분정도의 시간과 .. 짧고 길게/독서일기 2009.12.10
아트엔스터디의 철학강좌 광고 [지식메일] 미치면 행복하다 인쇄 보낸날짜 2009년 2월 19일 목요일, 오전 07시 45분 41초 +0900 보낸이 아트앤스터디 <mailmaster@artnstudy.com> 받는이 <eoskan2001@hanmail.net> 추가 ',600,200);return false;" href="http://mail.daum.net/hanmail/mail/ViewMail.daum?MSGID=k0000000003mKSv&FOLDER=&mpage=1&KEYTYPE=&KEYWORD=&_top_hm=li_read_normal&type=cmai.. 짧고 길게/독서일기 2009.02.19
지식인의 종언-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이현복 편역 지식인의 종언-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이현복 편역 차례 편역자의 말 질문에 대한 답변:포스트모던이란 무엇인가 포스트모던에 대한 짧은 설명 [포스트-]의 의미에 관하여 비트겐슈타인, [이후] 아야기들에 대하여 보편사에 대하여 정당성에 대하여 이성들간의 혼란 숭고와 아방가르드 공포와 숭고에 .. 짧고 길게/독서일기 2008.08.24
시뮬라시옹(장 보드리야르 지음, 하태환 옮김) 시뮬라시옹(장 보드리야르 지음, 하태환 옮김) 차례 시뮬라크르의 자전/역사:복고 시나리오/홀로코스트/차이나 신드룸/Apocalypse now(세계의 종말 지금)/보부르 효과:함열과 저지/거대시장과 파생상품/매체 속에서 의미의 함열/절대적 광고, 제로광고/동일증식 집단 이야기/입체 영상들/충돌/시뮬라크르.. 짧고 길게/독서일기 2008.08.24
지나간 미래 지나간 미래 라인하르트 코젤렉 지음, 한철 옮김, 문학동네, 1998 차례 1. 근대사에 있어서의 과거와 미래의 관계 -근대 초기의 지나간 미래 -역사는 삶의 스승인가 -근대 혁명개념의 사적 기준 -로렌츠 폰 슈타인의 역사예측 2. 사적 시간규정의 이론과 방법 -개념사와 사회사 -역사, 역사들, 시간의 형식.. 짧고 길게/독서일기 2008.08.24
박민규의 [지구영웅전설]에 대한 이인성의 심사평 박민규의 [지구영웅전설]에 대한 이인성의 심사평 깊이와 재미 온갖 공상과학만화의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그 자체가 또하나의 공상과학만화 같은, 이 소설답지 않은 소설 [지구영웅전설]은 아무튼 재미있다. 그 재미는 우선 경쾌한 입심과 다양한 지식, 그리고 세상을 뒤집어 보는 시선으로부터 나온.. 짧고 길게/독서일기 2008.08.24
김영하의 '검은꽃' 김영하의 '검은꽃' '순간 바오로는 분명히 깨달았다. 그의 신은 정녕 질투하는 신이었다. 샤먼으로 비롯된 싸움에서 신은 어떤 권능도 보여주지 않았다. 조선과 일본과 멕시코가 각기 저지른 그 모든 죄악을 이들이 대속하고 있다는 것을 번연히 알면서, 신은 토라진 여자아이처럼 질투하고 있는 것이.. 짧고 길게/독서일기 2008.08.24
에로스와 문명-프로이트 이론의 철학적 연구 에로스와 문명-프로이트 이론의 철학적 연구 H.마르쿠제/김인환 역 "인간의 본능적 욕구의 자유로운 충족은 문명사회의 존재와 공존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이 질문에 답하고자 씌어졌다. 헤겔, 맑스, 프로이트의 사유를 이은 이 책은 심오한 심리학도, 철학도, 인류학도, 신화 해석학도, 문화구조의 사.. 짧고 길게/독서일기 2008.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