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그 머나먼 어릴적 엉덩이 붙이고 놀던 곳.... 언제인가부터 고향이란 이름으로 명명되면서 머나먼 곳이 되었다. '그 머나먼', 고향은..... 갈 때도 멀고.... 올 때는 더 먼 곳......쉽게 발길이 떨어지지 않는다. 나도 나이를 먹었나보다. 내 모든 것의 출발점이었던 곳..... 한때 나의 공간에서 바라본 뒤켠으로 오이가 .. 앙가주망/민족 2011.08.09
강화도탐방 느린걸음으로 떠나는 평화의 현장, 생태의 보고 'DMZ를 찾아서'는 강화도를 다녀왔습니다. 연미정에 올라 서해바다의 아픔을 이해하고 대몽항쟁의 현장, 고려궁지와 강화도령 철종의 터, 용흥궁을 둘러보고 강화평화전망대에 올라 북한의 연백군과 개풍군을 쳐다보며 통일기원탑에 통일에 대한 소원.. 앙가주망/민족 2011.04.20
[스크랩] 여기는 北韓의 元山... Kernbeisser가 2006년 3월 - 2009년 8월에 촬영하였습니다. 해설은 그의 설명을 번역한 것입니다. http://www.flickr.com/photos/kernbeisser 동해에 위치한 북한의 항구에서의 인상적인 장면들입니다. 원산시의 전경입니다. 이른 아침에 동명려관에서 촬영하였습니다. 원산 시내 중심가입니다. 가교 너머로 철로가 보입.. 앙가주망/민족 2011.04.05
[스크랩] 한국인의 이름에 대한 여러 수치 조사 예전부터 꼭 해 보고 싶었던 것 중의 하나로 이름 데이터베이스를 구해서 흔한 이름, 여성적 이름, 중성적 이름 등등 같은 것 통계내기가 있었습니다. 요새 주변 사람들 중에 아기를 낳아서 새로 이름 짓는 사람도 많고, 아무래도 이름에서 나오는 느낌의 신비(?)에 접근하고 싶어서! -ㅇ- 그러다가 얼마.. 앙가주망/민족 2011.03.17
재일교포 3세 김대정님이 전하는 일본지진 김대정님은 오사카 출신 재일교포 3세로 도쿄에 살고 있으며 조금은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그가 11일 일본대지진이 일어났을 때의 상황을 그의 블로그에 올린 글을 내 블러그에 옮겨봅니다. 조금이나마 지진이 어떤 것인지를 실감할 수 있을 듯 하네요... 아래는 2011년 3월 14일 08시 07분에 그가 그.. 앙가주망/민족 2011.03.14
중원을 찾아서 연평도에서 벌어진 남북한의 대치상황은 오리무중으로 빠져만가고 통일신라시대, 한반도의 중원이었다는 충주땅엔 눈이 내려 시야가 온통 뿌옇기만 하다.... 탄금대에서 본 남한강 1 중원(中原)은 어디인가? 우리들의 답사를 위해 해설나온 해설사가 통일신라 이야기를 하자.... 초등학생들은 일제히 .. 앙가주망/민족 2010.11.28
북한의 산들 대외에 개방을 안 한 탓인지, 아니면 사진기술의 미숙과 장소의 한계 탓인지 북한의 많은 절경들이 대외에 알려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백두산, 금강산, 묘향산의 일부 개방된 곳은 여러 매체에 소개되고 있지만, 절경이라고 이름만 알려졌을뿐 사진으로 소개되지 않은 절경들이 무.. 앙가주망/민족 2010.06.25
금강산의 가을 위로부터 선녀와 나뭇꾼의 전설이 감미로운 상팔담 조선시대 화가 최북의 객기로 빛나는 구룡폭포 금강산 최고의 암벽을 자랑하는 집선봉 집선봉과 세존봉이 만나는 동석동계곡 앙가주망/민족 2010.06.25
중국후배 장하의 논문 장하 논문.doc 오늘 우연히 길림에 있는 중국후배 장허랑 중국 xiaonei 싸이트에서 대화를 하다가 그의 석사논문이 완성되었다고 메일로 보내준다기에 받았다. 그의 논문 주제는 '二战后滞华朝鲜人问题研究', 번역하자면 '2차세계대전 이후 중국에 남은 조선인 문제연구'로 구한말부터 일본점령기 때까.. 앙가주망/민족 2010.05.21
중국 길림(지린)시 육문(毓文위원)중학교 중국에 있을때 알던 중국 후배들의 소식을 알기위해 xiaonei(중국 젊은이들이 하는 우리나라의 싸이월드와 비슷한 개인블러그)라는 블러그를 하고 있는데 오늘 그곳을 둘러보다가 재미있어서 퍼온 동영상입니다. 내용은 북한에서 제작한 길림 육문(毓文중국발음 위원)중학교와 김일성주.. 앙가주망/민족 201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