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고 길게/독서일기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빛의 염탐꾼 2008. 8. 24. 06:37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발터 벤야민, 반성완 옮김

 

 

 

번역자의 해설-발터 벤야민(1892-1940)의 비평개념과 예술이념의 목차

 

1. 벤야민의 수용과 문제점

2. 벤야민의 생애와 프로필

3. 초기예술비평의 특징

   1) 칸트의 철학과 비체계적 사고

   2) 독일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

   3) 예술작품의 진리내용과 사실내용

   4) 멜랑콜리와 신학적 역사관

   5) 알레고리적 언어관

4. 예술개념의 변화

   1) 분위기(Aura)의 개념

   2) 분위기의 상실과 예술개념의 변화

   3) 예술개념의 변화와 예술의 정치화

   4) 변증법적 이미지의 이중적 성격

5. 역사철학테제

6. 마무리

 

반은 고개를 끄덕이며 또 반은 몽롱한 상태로 그저 나열된 단어들만을 훑으며 400여페이지의 깨알같은 글씨로 된 책을 읽었다. 번역자의 말대로 종교적이고 신화적인 사유에서 나오는 비의적 언어와 알레고리적 은유, 몇 겹으로 이루어진 문장과  집약적 문체로 인해 머리와 눈이 따라가지 않을 때가 많았다. 신학적 모티브와 유물론적(정치적) 모티브의, 언뜻 보면 물과 기름같은 두개의 모티브로 인해 지금도 다양한 미학적 해석이 존재하는 그지만...... 나치가 집권하고 프랑스로 망명한 유대계 독일인의 사고를 훑어가다보면 정치적 격동기를 살았던 지식인의 삶, 그리고 그 속에서 묻어나오는 고뇌와 사고의 변화를 통해 현재의 우리들의 모습을 조금은 돌아볼 수 있었다. 미국 망명을 위해 스페인으로 가다가 스페인 군인들에 의해 입국을 저지당하자 극약을 먹고 자살했다는 벤야민....... 치열한 자들의 삶은 언제나 한편의 드라마같다,

 

벤야민과 동시대를 살았던 문예비평가들의 개념을 반성완은 아래와 같이 정리하면서 벤야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참조할 것을 권한다. 

 

루카치: 벤야민과는 정반대로 처음부터 20세기의 모더니즘적 예술과 거의 담을 쌓고 독일고전주의의 예술이념을 끝까지 고수

 

아드로느: 벤야민으로부터 그의 미학이론의 결정적 모티브를 구해 이를 헤겔적 방법론과 [부정적 변증법]의 시각을 가지고 현대의 문화, 예술을 폭넓게 다룬 모더니즘적 예술관

 

블로흐: 신비주의적 모티브를 끝까지 추적, 유토피아와 [희망의 철학]을 정립. 이로써 예술의 유토피아적 기능을 추출

 

마르쿠제: 기술과 조직에 의해 획일화된 [일차원적] 현대산업사회 속에서 억압되고 있는 개인의 내적욕망과 감성을 해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예술의 사회적 기능을 강조